[Daily ballet] 발레용어(ㄱ)-②, 발레사전, 발레관련용어모음집 가나다순 <ㄱ part.2>
골드베르크 변주곡(Goldberg Variationen)
1741년 발표된 요한 제바스티안 바흐(johann Sebastian Bach)의 작품. 변주곡 가운데 가장 중요한 작품 중 하나로 손꼽힌다. 변주곡이란 동일한 주제가 되는 선율을 바탕으로 리듬과 화성 등을 여러 가지 방식으로 변형시켜 나가는 기악곡 을 일컫는다.
골반(pelvis)의 중요성
몸의 안정을 유지하는 데 가장 중요한 역할을 하는 것은 척추인데, 그것이 서 있는 발판은 골반이다. 이것은 뒤와 옆이 높고 앞쪽이 낮아 얼핏 사발처럼 보인다. 척추의 아래쪽에 있는 쐐기 모양의 천골(엉치뼈)이 사발의 뒷부분을 형성하고, 그 양쪽에 몸통과 다리를 잇는 관골(볼기 뼈)이 연결되어 골반의 앞과 옆부분을 형성한다. 척추를 지탱하고 다리 쪽에서 발생하는 충격을 흡수하는 골반은 몸통과 다리의 모든 움직임의 중추이며, 무용수의 자세와 배치의 중심이기도 하다. 골반은 장골, 치골, 좌골이라는 융합된 3개의 뼈로 이루어져 있다.
공연 준비
<레 실피드(Les sylphides)>의 부드럽고 환상적인 흰 드레스와 신비한 숲 속의 빈터, <페트루슈카(Petrushka)〉의 서커스 공연장은 작품 구성에 빠져서는 안 될 절대적인 요소이다. 그처럼 발레 공연에는 무용수의 실력 못지않게 무대 디자인과 의상, 음악 등이 매우 중요한 의미를 갖는다. 따라서 16세기 레오나르도 다 빈 치(Leonardo da Vinci)에서 현대의 파블로 피카소(Pablo Picasso)에 이르기까지 많은 예술가들이 발레 무대 제작에 참여해왔다. 아울러 초기 궁중 발레의 무거운 드레스부터 19세기의 뛰뛰(tutu), 그리고 몸에 짝 달라붙는 오늘날의 타이츠(tights)까지 발레 의상 또한 꾸준히 변모를 거듭해왔다. 한 편의 발레 작품이 성공적으로 공연되는 데는 보이지 않는 많은 사람들의 손길과 역사의 진화가 필요한 것이다.
관습적인 머리의 움직임
무용수는 앞으로 움직일 때, 일반적으로 활동하고 있는 발 쪽으로 머리를 돌린다. 또한 뒤로 움직일 때, 대개 무용수의 머리는 받침다리 쪽으로 기울어진다.
국립발레단(Korea National Ballet)
1962년 설립된 한국의 대표적인 발레단이다. 단원 수는 50명 안팎이며, 명작 발레인 〈백조의 호수(Swan Lake)>와 〈호두까기 인형(The Nutcracker)〉 등을 국내에 처음 소개했다. 아울러 1975년에는 지젤(Giselle)>을 처음으로 전막 공연했고 <신데렐라(Cinderella), <코펠리아(coppélia)>등을 비롯해 <지귀의 꿈>, <처용>, <왕자 호동> 같은 한국적 창작 발레도 활발히 무대에 올렸다. 지난 1988년 서울올림픽 이후에는 고전발레뿐만 아니라 현대발레도 폭넓게 수용하고 있다.
궁정발레(ballet de cour)
16세기 말 프랑스에서 탄생해 17세기 초 전성기를 맞은 무대예술로 무용과 대사, 노래가 결합되었다. 당시 궁정발레는 군주와 그 가족의 생일이나 결혼식 등 을 기념해 공연되는 경우가 대부분이었다. 그 후 1641년 무렵부터 비로소 일반 시민들을 위한 공개적 공연이 무대에 올려졌다. 한편 초기 '발레 드 쿠르' 무용수는 전부 남성들로, 대개 화려한 장식이 달린 의상에 가면을 착용하기도 했다.
그랑(grand)
'크다', '큰 움직임' 이란 뜻이다.
그랑 까브리올(grand cabriole)
까브리올 동작이 더욱 큰 것을 말한다.
그랑 바뜨망(grand battement)
한쪽 발에 체중을 두고, 다른 쪽 발로 빠르고 힘차게 공중으로 다리를 던지듯 차는 자세이다.
그랑 바뜨망 데리에르(grand battement derriére)
한쪽 발에 체중을 두고, 다른 쪽 발로 빠르고 힘차게 공중으로 다리를 뒤로 던지듯 차는 자세이다.
그랑 바뜨망 쥬떼(grand battement jeté)
한쪽 발이 마루바닥 위를 미끄러지게 하면서 앞으로 90°가 되게 차올리는 쥬떼를 말한다.
[Daily ballet] 발레란? 발레의 시초, 발레 어원, 발레 기본 용어(+발 포지션)
[목차] 1. 발레란? 2. 발레의 시초 3. 발레리나의 등장 4. 발레 기본 용어 5. 발레 발 포지션 1. 발레란? 어원은 라틴어 '춤추다(ballare)'인데 여기서 이탈리아어 '춤(ballo, 발로)'에서 또 변형되어 오늘
daily-ballet.tistory.com
[Daily ballet] 발레용어, 발레사전, 발레관련용어모음집 가나다순 <ㄱ part.1>
가르구이야드(garguillade)이탈리아파와 프랑스 발레 학교에서 사용하는 용어로, 반쯤 벌린 다리로 도약 전에 작은 원들을 그리는 것을 말한다. 개구장이 발끝바닥에 앉아 양다리를 앞으로 쭉 뻗
daily-ballet.tistory.com